(2006.05)
삼성 DMZ45-Dual PC를 사서 MCE를 써 보았다.


이전부터 MCE용 PC를 조립 내지는 사고 싶었으나, 조립은 부품을 사다가 잘못될 경우,
교환을 하러 가는 경우가 종종 생기는데.. 도저히 그럴 시간이 없을 것 같고.. MCE에 적합한
이쁜 케이스도 잘 없고, MCE용 리시버와 리모컨 구입도 만만하지 않을 것 같고 등등

여러가지 문제로 그냥 완제품을 샀다..


잘 산 것 같다..


삼성 MCE리모컨은 다른 MCE와는 달리 리모컨으로 어느정도의 키입력과 마우스 기능을 지원한다.



MCE를 며칠 써 보면서 느낀 것은..

이전에 도스시절에서 Win3.1로 넘어가던 시절이 생각난다.

도스에서 프로그램 뛰우고, 모든 기능들은 단축키로 기억해서 아주 빨리 작업을 할 수 있었다.  그러던 중 Win3.1이 나와서 마우스를 사용해야 했는데,  그게 그렇게 불편하고 속도도 늦었었다.

 

왜 마우스로 작업을 하나? 누가 Window를 쓰려나?, 키보드가 훨씬 기능도 많고, 단축키만 외우면 훨씬 빠른데.. 이런 생각을 했지만...
시대는 마우스를 쓰는 윈도우로 바뀌어 버리고, 나도 이제 마우스 없이는 컴퓨터를 쓰고 싶지 않다.



MCE는 마우스 에서 리모컨으로 넘어가는  새로운 시대를 선도할 수 있을 것 같다.


며칠 MCE를 리모컨으로 써보니,  마우스 쓰기가 싫어지고  리모컨이 그렇게 편할 수가 없다.

사실 속도는 마우스 보다 좀 늦지만..



하지만 리모컨을 위한 깔끔한 UI와 편리함은  마치 DOS에서 Window로 넘어가던 시절을 연상케 하고,  다시는 마우스를 쓰기 싫어지도록 만들고 있다.

난 아마도 리모컨과 MCE 예찬론자가 될 것 같다. 

Posted by yongary
,

워드 다이얼링

Mobile 2007. 11. 16. 13:26

(2006.02)

SKT에서 워드 다이얼링 이라는 서비스를 시작했다.


기존에는 피자배달을 시키고 싶으면, 전화번호를 알아서 전화를 해야 했지만

이젠 "피자"라고 적고 통화만 누르면  피자주문을 시킬수 있다. (도미노 피자로 연결된다고 한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과정이 전혀 delay없이 순식간에 일어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번호를 이용해 전화를 걸때와 똑같은 시간에 이것이 가능한 것이다.



어떻게 이런게 가능할까?


정답은 전화번호안에 "피자"를 숨겨서 전화를 하는 것이다.



전화번호가 이상하게 123456789092827383990192 ... 머 이런식으로 걸릴진 모르지만..

아무튼  어느정도 가능은 하다.



전화번호 안에 "피자"를 숨기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겠지만..

SKT에선 Hashing 알고리듬을 핵심기술로 사용하는 것 같으며

특허도 걸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Posted by yongary
,

게임폰 및 그래픽 칩

Mobile 2007. 11. 16. 13:25
(2006.02)

KTF와 SKT에서 3D 게임을 지원하는 게임폰들이 나오고 있다.


기존에도 큐리텔에서 이윤열이 광고하던 간단한 3D게임폰 이 있었으나,

사양도 좀 떨어지고, 서비스와 연계가 되지 않았으므로 차치하고



요즘 나오는 GXG의 게임폰을 보면 다음과 같다.

GPANG은 이 중에서 G100과 SV360을  G1000, SV3600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다.



삼성G100,  ARM7,  VirtualDigm사의 그래픽 칩

LG SV360,  ARM7,  ATI

팬텍 S6000, ARM7,  엠텍비젼

모토로라 MS550, ARM7, ?

SKY IM8300, ARM9

삼성 B300,   ARM9


이 중 ARM9폰의 경우에는, CPU가 좋으므로

별도로 그래픽 칩이 없어도 어느정도 3D 게임이 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그래픽 칩이 있는 폰보다는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Posted by yongary
,

퀄컴의 HSDPA 칩

Mobile 2007. 11. 16. 13:25

(2006.1)

퀄컴의

MSM6275 칩과 MSM6280 칩이  HSDPA를 지원한다.



삼성에서는 이를 이용한 휴대폰 및 시스템을 개발하였다고 발표하였다.


기존 1.8Mbps였던 기존의 속도보다 두 배 빠른 3.6Mbps 속도를 제공한다고 하지만,

실제 휴대폰에서 1.8Mbps가 나온 적이 과연 있었던가?


Posted by yongary
,

ARM과 퀄컴의 관계

Mobile 2007. 11. 16. 13:23
(2006.01)

ARM은 모바일용 CPU제조사이고,

퀄컴은 이 CPU를 이용하여 칩셋을 만드는 회사이다.


머 약간 다르긴 하지만, PC의 경우에 비추어 본다면

인텔은 CPU를 만들고, 메인보드는 다른 회사가 만드는 경우랑 비슷하다고 할 수는 있는데,


PC와는 달리

핸드폰 제조사들은 주로 퀄컴의 칩셋을 사게된다.



주로 ARM7과 ARM9이 주류를 이루고 ARM11이 이제 곧 등장할 단계이다.


ARM7은 퀄컴의 MSM5xxx시리즈 칩셋의 cpu가 되고,

ARM9 (225MHz) 은 퀄컴의 MSM6xxx시리즈의 cpu가 된다.


그리고 향후 변할 수는 있겠지만,

현재까지는 xxx의 숫자가 500이상이면 EV-DO서비스가 되고,

500미만이면 EV-DO를 지원하지 않는 차이가 있었다.


ARM11 (400MHz)는 MSM7xxx의 cpu로 예정되어 있다.


Posted by yonga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