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새로운 VPC 생성
- AWS Management Console → VPC 서비스로 이동
검색창에 “VPC” 입력 → “VPCs” 메뉴 클릭 - [Create VPC] 버튼 클릭
- 설정 예시
- VPC only 선택
- Name tag: my-new-vpc
- IPv4 CIDR block: 10.1.0.0/16 (기존 VPC와 겹치지 않게)
- IPv6 CIDR: 비활성화(필요시만)
- Tenancy: Default (Dedicated 필요 없으면)
- [Create VPC] 클릭
✅ 결과: my-new-vpc라는 완전히 독립된 VPC가 만들어집니다.
🌐 2️⃣ 서브넷 / 인터넷 게이트웨이 / 라우팅 세팅
VPC만 있으면 EC2가 외부통신 불가이므로, 기본 네트워킹 요소를 만들어야 합니다.
- Subnet 생성
- VPC 대시보드 → “Subnets” → [Create subnet]
- VPC: my-new-vpc
- Subnet name: my-new-public-subnet
- Availability Zone: ap-northeast-2a (또는 원하는 AZ)
- IPv4 CIDR block: 10.1.1.0/24
- Create subnet
- Internet Gateway 생성
- 왼쪽 메뉴 “Internet Gateways” → [Create internet gateway]
- Name tag: my-new-igw
- Create → Attach to VPC → my-new-vpc
- Route Table 수정
- “Route tables” → my-new-vpc에 자동생성된 테이블 선택
- Routes 탭 → Edit routes → Add route
- Destination: 0.0.0.0/0
- Target: 방금 만든 my-new-igw
- Save changes
- “Subnet associations” 탭 → Edit → my-new-public-subnet 연결
✅ 결과: my-new-public-subnet은 인터넷 연결 가능한 퍼블릭 서브넷이 됨.
💻 3️⃣ 새 EC2 인스턴스 생성 (이 VPC 안에)
- EC2 → Instances → [Launch instances]
- 이름: my-new-server
- AMI 선택: Amazon Linux / Ubuntu 등
- 인스턴스 유형: t3.micro 등
- Key pair:
- “Create new key pair” 클릭
- Name: my-new-keypair
- Type: RSA (또는 ED25519)
- Format: .pem (Windows PuTTY면 .ppk 선택)
- [Create key pair] → 자동으로 다운로드됨 (my-new-keypair.pem)
- Network settings:
- VPC: my-new-vpc
- Subnet: my-new-public-subnet
- Auto-assign public IP: Enable
- Security group: 새로 생성 (예: SSH(22), HTTP(80), HTTPS(443))
- Launch instance
✅ 결과: 완전히 독립된 VPC + 서브넷 + 키쌍 환경에 EC2 인스턴스 생성 완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