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로 이 이름이 좋은 이름인지 안 좋은 이름인지는
주로 발음으로 따지게 된다.

예를 들면, "조아" 라는 이름과 "시러" 라는 이름이 있다고 가정해 보면

조아 라는 이름을 계속 불러주면 좋은 기운이 전달되어 그 사람이
좋은 기운을 계속 받게되어 사랑을 많이 받고사는 즐거운 사람으로
자라갈 수 있고

시러 라는 이름을 계속 불러주면 나쁜기운이 전달되어,
성격이 포악해지고 안정되지 못한 성격으로 변해갈 수 있게 된다.


조아,시러 의 이름이 우연인지는 모르겠지만, 오행과 음양을 아래표에서 보면

<자음의 오행>
조아: ㅈㅇ = 金土  (상생, 토생금)  => 상생인 발음이 좋다.
시러: ㅅㄹ = 金火  (상극, 화극금)

  상생/상극은 이전글 참조: 
         상생 목->화->토->금->수   -> 목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 


<모음의 음양>
조아:  ㅗ ㅏ (음양)   => 음과 양이 섞인 발음이 좋다
시러: ㅣ ㅓ  (음음)

기본적으로 이렇게 자음의 오행과, 모음의 음양을
어느정도 수준에서 맞추는 것이 어렵지 않으므로
이를 준수하여, 이름을 지어야 할 것이다.
오행이 맞지 않으면, 이름을 부를때마다 좋지 않은기운이 전달될 수 있고,
음양이 조화가 되지 않으면, 성격이 너무 내성적이거나 외성적으로 될 수 있다.


   한글 자음의 오행

木 : ㄱ, ㅋ  
火 : ㄴ, ㄷ, ㄹ, ㅌ
土 : ㅇ, ㅎ  
金 : ㅅ, ㅈ, ㅊ  
水 : ㅁ, ㅂ, ㅍ   

  한글 모음의 음양

음: ㅓ,ㅕ,ㅗ,ㅛ,ㅡ,ㅣ
양: ㅏ,ㅑ,ㅜ,ㅠ


 

Posted by yongary
,


한자 작명에서는 획순을 중요시하게 된다.
이는 한문의 글 하나하나에 그 획순에 따라 음양오행이 반영되어 있다는 생각을 반영한 것으로,
한문으로 이름을 많이 쓰던, 예전에는 의미가 컸겠지만,
요즘같이 한문을 적게 사용하는 사회에서는 다소 그 영향력이 줄어들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한자 작명에서는 그 사람의 사주를 보고, 사주에서 부족한 것을
이름에 보충하는 방법도 취하게 되는데, 사주를 중요시하고 많이 믿는
많은 사람들로서는 이 부분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에, 한자 작명방법도 고려를
하여, 이름을 짓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한자 작명에서는   수리삼격(원,형,이,정) 과 삼원  2가지를
주로 보게 된다.


< 수리삼격(원,형,이,정)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초년운): 10획
 형(중년운): 14획
 이(장년운): 12획
 정(말년운): 18획



그림처럼 한자들의 획순을 더하면 원,형,이,정 각각의 획순이 나오게 되고,
획순별로 운세가 있는데..


좋은 획순:
1,3,5,6,8,11,13,15,16,17,18,21,23,24,25,29,31,32,33,35,37,39,41,45,47,48,52,57,61,63,65,67,68,73,75,77,81( 단, 여성에게는 별로 안좋은 획순: 21.23.29.33.39.57.77  )

따라서, 위 그림의 김다우씨의 경우에는 말년운만 좋다고 할 수 있다.

각 획순마다 고유의 의미가 있는데... 몇가지 좋은 획순의 예를 들면,
16획: 덕망현달,
17획: 만사창달,
25획: 안전건창  등이다.

(#참고로, 이름이 2자일 경우는 형,이 가 모두 성이 된다. )


< 삼원 >

삼정은 한자의 획순으로 오행및 음양을 살펴보는 방식으로,
사주를 보고 부족한 것을 여기서 추가해서 넣을 수도 있고,
기본적으로는 상생이나 음양의 조화가 잘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숫자에는 기본적인 오행이 있는데...
목: 3,8   화: 2,7  토: 5,10   금: 4, 9   수: 1, 6

획순에서 사용하는 수리오행은 천간에서의 순서와 같다.
목: 1,2     화:3,4   토:  5,6   금: 7,8  수: 9,10

그리하여,
일원: 金  8획  =   금
이원: 金+多  14획  =  화
삼원: 金+友  12획  =   목
이 된다.

Posted by yongary
,

OpenAPI, REST방식

IT 2008. 1. 16. 14:59

요즘 OpenAPI 에서는 REST방식이 대세이다.
simple해서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고, RSS와도 유사한 면이 많기 때문에
그 이해와 구현의 접근성에서 기존의 다른 방식과는 비교를 불허한다고 할 수 있다.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방식:
http 프로토콜의 GET, POST, PUT, DELETE의 4가지 방식을 이용해
각각 read, update, insert, delete의 형태로 데이타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기존 WEB Service 방식은  WSDL(웹 서비스 기술 언어) 를 이용해
언어를 정의하고, 데이타를 정의한 후 데이타를 주고 받아야 하므로
복잡한 측면이 존재한다.

SOAP 방식(Simple Object Access Protocol)도 WEB Service방식의 하나라고 볼 수 있는데
xml로 데이타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Posted by yongary
,

=========== 간지 ===================

간지는 고대에 년/월/일/시와 방위를 계산하던 부호로서
우리가 자주 접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든다면
간은 해가한번 뜨고 지는 것, 즉 하루에 가깝고
지는 1개월로 볼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여러가지 관련된 현상이 많다)

간지는 10천간과 12지지로 이루어져 있다.
올해는 무자년이고  이 때, 무는  천간, 자는 지지이다.

10천간: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12지지: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이렇게 10천간과 12지지가  합해져서 총 60간지가 된다.
( 갑자년, 병자년은 존재하나, 을자년은 존재하지 않는다. 10*12/2 해서 60간지)



=========  간지의 오행 및 사주 ==================

10간과 12지의 각각에 해당하는 오행은 다음표와 같다.

오행

천간

갑을

병정

무기

경신

임계

지지

인묘

사오

진미술축

신유

해자



이 표는 사주를 볼 때도 이용하게 되는데,
올해가 무자년이므로

예를 들어 2008년 2월 11일 9시에 태어난 사람의 사주는
만세력을 참조하면 무자년 갑인월 신사일 임진시 가 되고

 무자년: 토수
 갑인월: 목목
 신사일: 금화
 임진시: 수토
이렇게 사주팔자(여덟글자) 및 오행이 정해지므로
이 사람은 비교적 5행이 고르게 잘 석여있는 사주가 된다.


========== 간지의 음양 ===================

간지의 음양은 아주 단순하다. 홀수번째는 양, 짝수번째는 음
이렇게 순서대로 매칭이 된다.

갑병무경임 :양
을정기신계 :음

자인진오신술:양
축묘사미유해:음

Posted by yongary
,

목성(木星)의 기운이 가장 강한 시간(木氣 시간) : 23시-03시[자시(子時)-丑時(축시)]

화성(火星)의 기운이 가장 강한 시간(火氣 시간) : 11시-15시[오시(午時)-미시(未時)]

                                                                        19시-23시[술시(戌時)-해시(亥時)]

토성(土星)의 기운이 가장 강한 시간(土氣 시간) : 07시-11시[진시(辰時)-사시(巳時)]

금성(金星)의 기운이 가장 강한 시간(金氣 시간) : 03시-07시[인시(寅時)-묘시(卯時)]

수성(水星)의 기운이 가장 강한 시간(水氣 시간) : 15시-19시[신시(申時)-유시(酉時)]


Posted by yongary
,

오행의 상생과 상극은

상생:
목->화->토->금->수   -> 목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

상극: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목극토, 화극금,  토극수, 금극목,  수극화)



상생의 경우에는 힘을 키워주는 것으로
토의 힘이 좀 부족할 경우,  화의 기운이 있으면 토의 힘이 강성해 지는 것이다.
토의 힘이 너무 많은 사람의 경우,  화의 기운을 많이 받게 된다면 오히려 안좋을 수도 있다.


상극은  힘을 자제하는 것으로,
토의힘이 넘친다면, 목의 기운이 많을경우 토의 힘을 줄여 주므로,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반대로 토의 힘이 얼마 없는데,  목의 기운이 많다면 해롭게 된다.


이렇게 상생과 상극은 상생은 항상 좋고, 상극은 안좋다고 보기 보다는
두가지 개념을 잘 섞어서 강약조절 및 활용을 해야 한다.
Posted by yongary
,

=== 음양이란 ===

음: 스산한 힘이나 기운
양: 밝은 힘을 표현한 것인데..


음: 달의 힘 에서 비롯된 기운
양: 태양의 힘에서 비롯된 기운

이라고 볼 수 있고, 북두칠성에서도 음의 기운이 나오는 것으로 보는 이들도 있다.

조수 간만이 달의 힘에 의해서 생기는 것을 보아서 알 수 있듯이
사람의 감정이나 기운도  달의 힘에 영향을 받을 것이고 그것을 음의 힘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태양은 모든 생명과 에너지의 근원이며, 생기의 근원이되며, 이것이 양의 힘으로 표현된다.




===  오행이란 ===

[목, 화, 토, 금, 수] 이렇게 다섯 가지를 오행 이라고 한다.

나무, 불, 흙, 쇠, 물 이라고 흔히들 표현하는 것은 그냥 외우거나 이해하기 쉬워라고 하는 방식이고,
실제로 오행은 어떤 우주의 힘, 무언가 알지 못할 기를 표현한 것으로,

각각 목성,화성,토성,금성, 수성의 힘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태양계에서 저 다섯가지 행성외에는 지구에 미치는 힘이 미약하므로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이고
이 다섯가지 행성의 힘은 태양/달 다음으로 우리의 삶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힘이므로,
이렇게 오행이라는 용어와 힘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힘들이 서로에게 미치는 상관관계까지
공식화 하고 있는 것이 음양오행설이라고 할 수 있다.








Posted by yongary
,

Android 시작, Hello World

Android 2007. 11. 20. 15:06


Android를 설치했으면, 기본 Hello World 프로젝트가 손쉽게 생성된다.

eclipse의 File->New-> Project 에서  android를 고르고, 그림과 같이 적당히 입력하면.
프로젝트가 완성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실행은 RUN에가서 android 프로젝트에서 방금 만들걸 골라주기만 하면...
에뮬레이터가 아래와 같이 실행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야호! Hello World가 떴다. ^^


Posted by yongary
,

Android의 설치

Android 2007. 11. 20. 14:45

--Android의 설치방법을 windows기준으로 설명해보려 한다.--


구글폰의 개발 SDK인 android는
Eclipse3.2 이상의 환경에서 개발이 가능하다.
( android 설치 등 참고사이트:  http://code.google.com/android/toolbox/google-apis.html  )


Android의 설치는 3 step으로 볼 수 있는데,
1.  Eclipse3.2이상이 깔려있어야 한다.
2.  android SDK를 다운받는다.( http://code.google.com/android/intro/installing.html  )
3.  Eclipse plugin(ADT)을 깐다. (http://code.google.com/android/intro/installing.html#installingplugin )

==> 2번항목과 3번항목이 순서는 바뀌어도 된다.



 :항목별로 설명하면, (windows 기준)

<1> eclipse설치
  eclipse는 www.eclipse.org 에서 받을 수 있다. 
  물론 이때, JDK5 ( htttp://java.sun.com/javase/downloads/index.jsp  )이상도 같이 깔도록 한다.


<2> Android SDK설치.

  A. http://code.google.com/android/download.html 
   에서 Windows버전을 다운받아서, 적당한 디렉토리에 푼다.  (예:  C:\eclipse )

  B. 내컴퓨터->우측클릭->속성->고급->환경변수 에서  PATH에     
       C:\eclipse\android_sdk_wind...\tools 를 추가한다.
 

<3> ADT 설치.
     1. Eclipse를 실행하여, Help > Software Updates > Find and Install. 메뉴를 고른다.
     2.   Search for new features to install을 고르고 "Next" 를 누른다.
     3.   "New Remote Site" 버튼을 누르고,   https://dl-ssl.google.com/android/eclipse/ 
           를 URL란에 입력한다. (이름은 아무거나하고)
     4. "Finish" 버튼을 누른다.
     5. 팝업창이 뜰텐데.. 거기서  +기호 몇번눌러 Android Development Tools x.x.x를 선택하고,
        "Next".   해서 다운로드 받는다.
     6. Eclipse가 Restart되고 난 후, Android SDK위치를 지정해준다.
         A.  Windows메뉴의 "Preference"메뉴에서 왼쪽에 +Android를 선택하고
         우측에다 SDK위치를 입력한다.     예) C:\eclipse\android_sdk_wind...


       


Posted by yongary
,

Adroid, GPhone

Android 2007. 11. 16. 13:51

애플에서 iphone을 발표했을 때, 세계의 모바일 업계는 경악을 했었다.
모바일 개발자의 입장에서는, 인제 모바일 개발이 아예 없어지겠구나
라고 생각이 될 정도였으니 말이다.

구글이 GPhone 관련 먼가 작업을 한다고 들었을 때는
당연히 애플보다 좀 늦긴 하지만, 애플을 따라하려니 생각했었다.
(SKT가 컬러링 출시하면 좀 있다가 KTF가 출시하고, 좀 더 있다가 LGT가 출시하고..
머 이런걸 보며 살아온 우리들 입장에선 당연한 생각이 아니겠는가)

그러나, GPhone은 달랐다.
휴대폰이 아닌, 휴대폰 OS를 개발한 것이었다.

Linux기반 OS에 java기반 SDK까지..

게다가 모두 오픈소스이고, Android SDK로는 폰의 기본 메뉴들까지
모두 구현할 수 있다고 한다.


해외에는 내년 말에 GPhone들이 출시될 것 같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에는 과연 언제나 가능할까?

하나의 어플리케이션만 개발하면 세계의 유수한 폰들에서 돌아가는 시대!
빨리 이런시대가 왔으면 좋겠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나라는 구조상 이동통신사가 절대권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과연 언제 GPhone이 나올지 상상하기가 힘든 수준이다.

게다가 이통사들도 자체적으로 Linux OS를 개발하고 있다고 하니,
이통사에서 Adroid를 오케이 할리가 현재로서는 만무하다.

새로운 MVNO사업자가 나타나서
GPhone으로 서비스를 하는게 가장 현실적인 방법일 것 같다.

돈만 있으면 내가 MVNO사업을 하고 싶다~~ ^^
국내 모바일업계의 발전을 위해서!



Posted by yonga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