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기본설치 - mongoDB 5.0 기준]

 

MongoDB 저장소 추가하기

1. MongoDB는 CentOS의 기본 저장소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별도의 저장소를 추가해야 합니다. 다음 명령어를 터미널에서 실행하여 MongoDB 저장소를 추가합니다

 

$ sudo vi /etc/yum.repos.d/mongodb-org-5.0.repo

아래내용 입력 저장.

[mongodb-org-5.0]
name=MongoDB Repository
baseurl=https://repo.mongodb.org/yum/redhat/$releasever/mongodb-org/5.0/x86_64/
gpgcheck=1
enabled=1
gpgkey=https://www.mongodb.org/static/pgp/server-5.0.asc
 
2. 그 다음에 진짜 설치.
- $sudo yum install mongo-org

 

3. 설치 완료후 설정 수정.

- /etc/mongod.conf 에  bindIp를 0.0.0.0 으로 수정.

 

4. 시작 

- $sudo systemctl start mongod 
=> (start를  status로 고치거나, restart로 고치면, 상태조회, 재시작 가능.)

 

 

 

 

[2. replicaSet 설정 법]

https://docs.mongodb.com/manual/tutorial/deploy-replica-set/

  - /etc/mongod.conf 에 replication 추가 필요. [기본 3서버 설정 기준, =>  2서버 1가상 arbiter설정은 아래 참조]
replication:
   replSetName: "rs0" 

 

  • (sudo) service mongod start
  • 3대가 다 시작되면 그 중에 한대에 mongo 로 접속해서 아래명령 실행필요,
arbiter없을 경우:
  rs.initiate({
   _id : "rs0",
   members: [
      { _id: 0, host: "172.31.47.103:27017" },
      { _id: 1, host: "172.31.46.185:27017" },
      { _id: 2, host: "172.31.43.168:27017" }
   ]
})

arbiter있을 경우:
  rs.initiate({
   _id : "rs0",
   members: [
      { _id: 0, host: "172.31.47.103:27017" },
      { _id: 1, host: "172.31.46.185:27017" }
   ]
})

rs.conf() 및 rs.status()로 확인가능.

 

[2서버 1 아비터 설정시]

arbiter 세팅시에는, member2개로 rs.initiate하고 rs.addArb(“host:port”)를 수행.

https://thomassileo.name/blog/2012/03/08/how-to-mongodb-replica-sets/

그전에 arbiter 기동은 https://docs.mongodb.com/manual/tutorial/add-replica-set-arbiter/ 

1. $sudo mkdir -p /var/lib/mongodb/arb

2. $sudo mongod --dbpath /var/lib/mongodb/arb --replSet rs0 --bind_ip 0.0.0.0

 

 

priority변경 은: PRIMARY서버에 붙은 후

cfg = rs.conf()
cfg.members[0].priority = 0.5
cfg.members[1].priority = 1.0
cfg.members[2].priority = 0.5
rs.reconfig(cfg) 

 

Posted by yongary
,

1. aggregation시 조건부 sum을 하는 방법입니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1218321/grouping-and-sum-with-conditions

 

ConditionalOperators.Cond cond = when(Criteria.where("status").is("PRESENT")).then(1)
                .otherwise(when(Criteria.where("status").is("ABSENT")).then(2)
                .otherwise(100));
                
//ond operatorNbS = ConditionalOperators.when("scst").thenValueOf(1).otherwise(0);

Aggregation agg = newAggregation(
    match(Criteria.where("bid").is("build_1481711758"),
    project("bid") 
        .and("scst")                            
        .applyCondition(cond, field("nbE"))

 

2. aggregation시 substring을 이용한 조건부 sum을 하는 방법입니다.

https://recordsoflife.tistory.com/463

Posted by yongary
,

WebGL은 OpenGL기반으로 만들어진 javascript용 라이브러리이다.

react에서 활용가능한 webGL 라이브러리가 여러가지 있으나 three.js가 괜찮아 보인다.

지원 브라우저에 주의하여야 한다.

 

저장포맷으로는 JSON기반인 glTF 를 많이 사용한다. 


(webGL 관련 예제)
https://code-masterjung.tistory.com/m/101?category=928099 

 

React로 Threejs 예제 따라 구현하기

 css를 공부하다 보니 자연스레 WebGL에 관심이 생겨 기본 개념을 익힐 겸 공식 문서를 따라 만들어 보았다(openGL은 일단 조금 나중에 다시 보는 걸로..). 사실 문서가 너무 잘 돼있어 예제를 단순히

code-masterjung.tistory.com

 

Posted by yongary
,

//summaryStatistics 를 이용한 통계방식 적용.
DoubleSummaryStatistics tpStat = list.stream().mapToDouble( log -> log.getTemp()).summaryStatistics();

 

이렇게 하면 다음과 같은 값들을 한번에 구할 수 있다. 사용법은 tpStat.getCount(), getSum() 등등

private long count;
private double sum;
private double min;
private double max;

Posted by yongary
,

기본적인 서버구성이 끝났다면.. (여기서는 2대의 서버에, route53을 통해 도메인 하나 공급을 가정)
  - 기본서버설정(jdk설정) : www.liquidweb.com/kb/install-java-8-on-centos-7/ 

  - ulimit설정    : https://www.baluna.ro/increasing-file-descriptors-and-open-files-limit-in-centos-7/

  - 혹시 efs연동시에는 : docs.aws.amazon.com/efs/latest/ug/efs-onpremises.html 참조. 

  - 타임존 설정: $sudo timedatectl set-timezone Asia/Seoul

  - 로케일 설정: ma.ttias.be/warning-setlocale-lc_ctype-cannot-change-locale-utf-8-no-such-file-or-directory/ 

 

(zooKeeper서버 설정시에는 /root/zookeeper/conf/zoo.cfg 에 자기IP만 0.0.0.0 다른 2서버  IP기재 + /var/zookeeper/myid 를 각각 1,2,3으로 설정)

 

1.    AWS의 ACM을 통해 인증서를 발급 받는다.              (참고: jojoldu.tistory.com/434

 

AWS의 Certificate Manager 로 SSL 인증서 발급 받기

보통 서비스가 소규모라면 1대의 서버에 Nginx를 설치하고 Let's Encrypt 를 설치해서 SSL을 등록합니다. 다만 이럴 경우 트래픽이 늘어 로드밸런서 + 여러 서버 구성으로 확장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jojoldu.tistory.com

  - 진행 중, [Route53에서 레코드 생성]버튼이 안나올 경우. 

      =>1방법(잘안됨) :  도메인 구매한 사이트의, 도메인 구성에 가서 CNAME 레코드를 추가한다.
         CNAME :  _990122b262bc3ecxxxx.acm-domainname.com 형태로 key와 value를 추가한다. 
             (hostname은 _990122b262bc3ecxxxx 까지만, . TTL은 3600정도..)
      => 2방법: route53으로 직접가서 호스팅영역(mydomain.com)을 먼저추가하고, AWS에 알려주는 4개
              (예: ns-620.awsdns-1.net.
ns-222.awsdns-31.com.ns-333.awsdns-26.co.uk. ns-444.awsdns-50.org.)
          를 도메인 구매한 사이트의, 도메인 구성에 가서 네임서버 1차,2차,3차,4차 로 설정한다.
           ==> 2방법 이후에 [Route53에서 레코드 생성]버튼이 보이므로, 누르면 된다.

       
     (30분 가량 대기하면 인증서 발급이 된다)

2. 그 후, 로드밸런서를 생성한다.

   로드밸런서 설정에서 타겟그룹을 구성하고, 서버2대를 추가.

 

   로드밸런서의 인증서 선택은 1에서 생성한 인증서를 선택한다. 
   보안그룹은 하나 만들어서 넣거나, 미리 만들어 둔 후 고르면 되고(후자 권장)

 

   라우팅 구성, 대상그룹 선택에서 앞서만든 타겟그룹을 추가하면 된다.  프로토콜은 HTTP로 된다. 

 

3. 로드밸런서 stickiness

   - 로드밸런서로 서버 2대에 부하를 분산할 경우,  접속자가 동일한 서버로 계속 접속되는 게 세션관리나 log측면에서 편하다.

  - 이 기능을 stickiness라고 하는데, AWS에서는 stickiness 세팅을 로드밸런서에 하지 않고,  Target Group에서 한다.


  아래 그림과 같이 Attribute에서 stickiness와 stickiness duration을 세팅하면 된다.    

   

 

4. 마지막으로, route53에 가서 A.레코드 세트를 추가하면서, Alias사용을 선택하면 로드밸런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름은 안넣고 하나생성, www 넣고 하나생성 .. 이렇게 A레코드 2개 세트 권장.

Posted by yongary
,

CSRF, JWT 토큰

IT 2020. 7. 29. 15:09

csrf 는 웹서비스에서 cross-site-request-forgery를 막기위해

백엔드에서 토큰을 발행하고 프론트엔드에서 이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는 유효한 요청인지를 확인하는 방식.

 

 

JWT토큰은 인증에 사용되는 방식으로서 REF

OAuth와 연동해서 사용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OAuth1과 OAuth2의 가장 큰 차이는 OAuth2의 경우 refresh 토큰이 가능. 

 

 

 

JWT를 구현하면서 마주치게 되는 고민들

최근 모바일, 웹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버와 통신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JWT 토큰 인증 방식을 추천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JWT를 이해하고 구현하면서 마주치게 되는 고민들에 대해 정리해보려 �

swalloow.github.io

 

Posted by yongary
,

spring boot2에서부터는  controller에서 @Async에서도

completableFuture를 리턴할 수 있다..

( 그 전에도 Async와 EnableAsync는 있었는데 completableFuture를 리턴하지는 못한것 같은데, 확인 중)

 

<사전지식>

1. Future(Java5 에 등장) 와 Observable간에 전환.  (마찬가지로 CompleatbleFuture와  Single간에 전환도 유사)

Observable<String> source = Observable.fromFuture(future);

source.subscribe(System.out::println);

 

2. Future vs CompletableFuture (Java8에 등장)  : ref
    CompletableFuture.complete() 함수를 호출해  Future를 수동으로 종료할 수 있음. 

    그 외 runAysnc, supplyAsync, thenApply, thenAccept, thenRun 등 함수들이 제공됨.

  

 


출처: https://12bme.tistory.com/570 [길은 가면, 뒤에 있다.]

 

[RxJava] RxJava 프로그래밍(1) -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서버 다수와 통신하게 되면 API 호출 각각에 콜백을 추가하게 된다. 콜백이 늘어나면 애플리케이션의 복잡성도 증가(callback hell)하게 된다. RxJava는 자바로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는 라이

12bme.tistory.com

https://12bme.tistory.com/570 

 

 

 

참고: https://howtodoinjava.com/spring-boot2/rest/enableasync-async-controller/#:~:text=1.-,Spring%20%40Async%20rest%20controller,application%20classes%20for%20asynchronous%20behavior.&text=The%20%40Async%20annotated%20methods%20can,result%20of%20an%20asynchronous%20computation.

 

Spring @Async rest controller example - Spring @EnableAsync

Spring @Async non blocking rest controller example. Learn to use spring async behavior with @EnableAsync annotation. Spring async completablefuture example.

howtodoinjava.com

 

Posted by yongary
,

Test Code 관련

springBoot gradle 2020. 7. 13. 17:19

 

 Stub/ Mock/Fake 등을 묶어‘테스트 더블(Test Double)' 이라고 한다. (여기서 Double=대역)

 

SpringBoot에선 BDDMockito를 지원해 B(Behavior) Driven Test를 지원한다.

 

 

MockMVC 과 Mockito의 차이.

- mockito가 좀 더 general하고 더 많은 case를 지원하고, 여러가지 mock도 지원한다. (mockObject.when()  등등...)

- MockMVC는 spring 전용.  

 

Posted by yongary
,

격리수준

BACK-END 2020. 7. 11. 22:15

DB의 트랜잭션은 ACID를 보장해야 한다. (참고: https://feco.tistory.com/45

 - 원자성, 일관석, 격리성, 지속성

Atomicity: 한트랜잭션이 여러query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한 트랜잭션의 모든 query가 성공하거나, 혹은 part of transaction이 실패하면 전체 transaction이 실패/혹은 rollback해야한다. 
Consistency: 트랜잭션후에도 DB는 항상 valid state 를 유지해야 한다.(for각종 constraint들 enabled in DB)
Isolation : 동시에 여러개의 transaction이 실행되더라도 하나씩 고립되어 순차적으로 실행되어야한다.
Durability: 트랜잭션이 commit되고 나면, 항상 available해야한다. server가 꺼졌다 켜지더라도...

 

 

이중, "I"인 Isolation(격리성의) 수준은 (참고: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lueaian&logNo=220636152759&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

 

- READ UNCOMMITED (dirty read 발생가능 + 아래들)

   : 일반적인 Database에서는 사용하지 않음

- READ COMMITED (none-repeatable read 발생가능 + 아래 )

   : Oracle 트랜잭션 격리 수준 ( OLTP에서 많이 채택 )

   : commit된 데이터에 대해 다른 세션에서 읽을 수 있음

- REPEATABLE READ  (Phantom Read발생가능)

  : Mysql 기본 격리수준

  : select 에 대해서도 MVCC 수준 유지

- SERIALIZABLE

  : 동시성이 중요한 Database에서는 사용하지 않음

 

Posted by yongary
,

점을 V(Vertex)
edge를 E라고 하면..

 

처음에 V를 쭉 더해놓고

다음부터는 BFS (혹은 DFS도 가능)

 

따라서 complexity는 O (V + E) 

 

https://www.geeksforgeeks.org/detect-cycle-undirected-graph/

cycle find 코드예제:

더보기
import java.util.*;

class Graph {
    private int V;
    private LinkedList<Integer>[] adj;

    Graph(int v) {
        V = v;
        adj = new LinkedList[v];
        for (int i = 0; i < v; ++i)
            adj[i] = new LinkedList();
    }

    void addEdge(int v, int w) {
        adj[v].add(w);
        adj[w].add(v);
    }

    boolean isCyclicUtil(int v, boolean[] visited, int parent) {
        visited[v] = true;
        for (Integer i : adj[v]) {
            if (!visited[i]) {
                if (isCyclicUtil(i, visited, v))
                    return true;
            } else if (i != parent) {
                return true;
            }
        }
        return false;
    }

    boolean isCyclic() {
        boolean[] visited = new boolean[V];
        for (int i = 0; i < V; ++i)
            if (!visited[i])
                if (isCyclicUtil(i, visited, -1))
                    return true;

        return false;
    }
}

public class CycleDetection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Graph g1 = new Graph(5);
        g1.addEdge(1, 0);
        g1.addEdge(0, 2);
        g1.addEdge(2, 1);
        g1.addEdge(0, 3);
        g1.addEdge(3, 4);
        
        if (g1.isCyclic())
            System.out.println("Graph contains cycle");
        else
            System.out.println("Graph doesn't contain cycle");
    }
}

코드예제임.

 

Digikstra 알고리듬.  근접한 distance 부터 하나씩 추가하는 알고리듬.

더보기
import java.util.*;

class Node implements Comparable<Node> {
    int id;
    int distance;
    
    public Node(int id, int distance) {
        this.id = id;
        this.distance = distance;
    }
    
    @Override
    public int compareTo(Node other) {
        return Integer.compare(this.distance, other.distance);
    }
}

public class DijkstraAlgorithmWithClass {
    public static void dijkstra(int[][] graph, int start) {
        int n = graph.length;
        int[] distance = new int[n];
        Arrays.fill(distance, Integer.MAX_VALUE);
        distance[start] = 0;
        
        PriorityQueue<Node> pq = new PriorityQueue<>();
        pq.offer(new Node(start, 0));
        
        while (!pq.isEmpty()) {
            Node curr = pq.poll();
            int node = curr.id;
            int dist = curr.distance;
            
            if (dist > distance[node]) continue;
            
            for (int neighbor = 0; neighbor < n; neighbor++) {
                int weight = graph[node][neighbor];
                if (weight > 0 && distance[node] + weight < distance[neighbor]) {
                    distance[neighbor] = distance[node] + weight;
                    pq.offer(new Node(neighbor, distance[neighbor]));
                }
            }
        }
        
        // 출력: 각 노드까지의 최단 경로 길이
        System.out.println("Node\tDistance");
        for (int i = 0; i < n; i++) {
            System.out.println(i + "\t" + distance[i]);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graph = {
            {0, 4, 0, 0, 0, 0, 0, 8, 0},
            {4, 0, 8, 0, 0, 0, 0, 11, 0},
            // 나머지 그래프 데이터도 입력
        };
        
        dijkstra(graph, 0);
    }
}
Posted by yongary
,